본문 바로가기

신라젠(215600) 4월 22일 상한가! 급등 이유와 향후 전망, 리스크 정리

에듀레이나 2025. 4. 22.
오늘 또 상한가? 신라젠, 무슨 일이야!”

 

2025년 4월 22일, 신라젠이 다시 한번 상한가를 기록하며 시장의 시선을 단숨에 끌어당겼습니다.

 

불과 얼마 전만 해도 침체기였던 바이오 업종, 그런데 신라젠만 홀로 날아오르는 이유는 뭘까요?

 

단순한 테마주 반등일까요, 아니면 진짜 ‘기회’가 온 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한가의 원인과 함께 향후 전망, 리스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게요!

 

1. 신라젠 상한가 배경

신라젠-상한가-차트

 

 

 

최근 신라젠의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한 주요 원인은 신장암 치료제의 병용 임상시험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결과입니다.

 

신라젠과 리제네론은 2017년 11월 FDA 임상 승인 후 미국, 한국 등 총 21개의 임상기관에서 임상을 시작했고, 올 초 마지막 환자의 약물 투약을 완료하고 임상을 종료했습니다.

 

펙사벡(Pexa-Vec) + 리브타요 병용 임상 (신장암 대상)

  • 질환 대상: 전이성 또는 절제 불가능한 신세포암(RCC, 신장암)
  • 병용 치료: 펙사벡(항암바이러스) + 리브타요(면역관문억제제)
  • 임상 단계: 글로벌 1b/2a상
  • 주요 결과:
    • C군 (면역항암제 경험 無):
      → 객관적 반응률(ORR) 23.3%, 전체 생존 기간(OS) 25.1개월
    • D군 (면역항암제 경험 有):
      → ORR 17.9%
  • 의의: 치료 경험에 따른 유의미한 반응률 차이 확인, 안전성·유효성 확보

해당 임상(1b·2a상)은 펙사벡과 리브타요를 함께 투여하는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4개(A~D)의 임상 군으로 구성됐으며, 연구 결과 펙사벡과 리브타요를 병용으로 정맥 투여한 임상 군(C, D)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입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신라젠은 항암바이러스 '펙사벡'과 면역관문억제제 '리브타요'를 병용한 글로벌 임상에서 객관적 반응률 23.3%, 전체 생존기간 25.1개월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확인했습니다. 

 

특히 면역항암제 치료 경험이 없는 신장암 환자(C군)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향후 면역항암 플랫폼 치료제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BAL0891 + 티슬리주맙 병용 임상 (고형암 대상)

  • 질환 대상: 고형암 등 다양한 암종
  • 병용 치료: BAL0891 (TTK/PLK1 이중 억제제) + 티슬리주맙(PD-1 면역항암제)
  • 임상 단계: 글로벌 임상 1상 진행 중
  • 주요 결과:
    • BAL0891의 탁월한 항암 효과 확인
    •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 시 상승효과 입증
  • 기타:
    • 중국 제약사 베이진과 파트너십 체결
    • 티슬리주맙을 무상 공급받아 글로벌 임상 진행
    • AACR 2025 학회 채택 → 국제적 신뢰 확보

그리고 'TTK/PLK1 이중 억제제'인 BAL0891의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신라젠은 중국 제약사 ‘베이진’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면역관문억제제 '티슬리주맙'을 무상 제공받아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이 병용 연구는 AACR 2025 학회에 채택되며,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죠.

 

이처럼 신라젠은 단순한 기술 이전이 아닌 직접적인 신약 개발 및 파이프라인 다변화를 통해 장기 성장 기반을 다지는 중입니다.

 

단기 테마주에서 벗어나, 중장기적 투자 가치로 거듭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향후 전망

신라젠-임상시험-펙사벡신라젠-임상시험-JX970

구분 내용
주력 사업 항암 바이러스 기반 면역항암치료제 개발 (펙사벡 등)
R&D 전략 글로벌 임상 1~2상 진행,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 (ex. BAL0891)
파트너십 확대 다국적 제약사 및 바이오텍과 공동 임상 및 기술협력 추진
수익 모델 다변화 우성제약 인수 → 의약품 유통 및 제약 생산 기반 확보
글로벌 진출 계획 미국 자회사 통한 FDA 임상 승인 추진 및 북미시장 확대
장기 전략 면역항암 플랫폼 기술 기반 다종 암 치료제 개발, 매출 기반 확보 목표

 

신라젠은 최근 이탈리아 소재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업체인 레이테라와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 플랫폼 SJ-600 시리즈 생산을 위한 포괄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레이테라는 에볼라, HIV 등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 백신을 개발하여 WHO에 공급한 경험이 있는 글로벌 CDMO 기업으로, 신라젠의 SJ-600 시리즈 생산을 통해 임상 진입이 가능한 약물로 개발할 예정이에요.

또한, 신라젠은 자사의 항암 바이러스 플랫폼 SJ-607이 일본에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파트너십과 특허 등록은 신라젠의 기술력과 시장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겠죠.​

 

3. 신라젠 주요 정보

신라젠-로고

항목 내용
회사명 신라젠 주식회사 (SillaJen, Inc.)
설립연도 2006년 3월 28일
상장일 2016년 12월 (코스닥: 215600)
대표자 김재경
본사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09, 9층
연구소 위치 경기도 용인시
직원 수 약 45명 (2025년 기준)
평균 연봉 약 6,000만 원 이상 ~ 8,000만 원 미만
주요 사업 항암 바이러스 기반 면역항암치료제 연구 및 개발
주요 제품 펙사벡(Pexa-Vec, JX-594)
기술 플랫폼 SOLVE® (Selective Oncolytic Vaccinia Engineering)
임상 파이프라인 간암, 신장암, 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에 대한 임상시험 진행 중
글로벌 파트너십 리제네론, 리스팜, 트랜스진 등과 공동 연구 및 임상 협력
자회사 SillaJen Biotherapeutics Inc.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주요 재무 지표 분석

  • 매출액: 2024년 매출액은 39억 원으로, 전년 대비 변동이 없습니다.
  • 영업이익: 2024년 영업손실은 2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손실이 확대되었습니다.
  • 당기순이익: 2024년 순손실은 2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손실이 증가하였습니다.
  • 자산총계: 2024년 자산총계는 1,4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 부채총계: 2024년 부채총계는 1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 자본총계: 2024년 자본총계는 1,3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 부채비율: 2024년 부채비율은 13.05%로, 전년 대비 개선되었습니다.
  • 유동비율: 2024년 유동비율은 759.75%로, 전년 대비 개선되었습니다.

신라젠은 2024년에도 영업손실과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산총계와 자본총계의 증가, 부채총계의 감소로 재무구조는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의 개선은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4. 신라젠의 매력 포인트 & 리스크 요소

주식은 항상 양날의 검과 같은 면이 있죠.

아무리 상한가를 달리는 잘 나가는 회사도 몇 개쯤 불안 요소는 안고 있기 마련이니까요.

 

신라젠은 어떨지, 양쪽 측면에서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투자자 시선에서 본 신라젠의 매력 포인트

 

신라젠의 임상 성과는 단기적인 호재를 넘어서, 중장기 성장성을 기대하게 만드는 포인트입니다.

 

기존 바이오주의 리스크는 “상용화 가능성”에 있었지만, 신라젠은 글로벌 임상 진입, 파트너십 확보, 학회 채택 등의 요소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특히 우성제약 인수로 안정적인 매출 기반까지 확보하면서, 바이오 특유의 ‘적자기업’ 프레임에서도 조금씩 벗어나고 있다는 점은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 긍정적인 흐름입니다.

 

시장에서 가장 주목하는 건 "이제는 진짜 팔 수 있는 제품이 나오느냐"인데, 신라젠은 그 실마리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아직은 조심스러워야 할 리스크 요소


물론 모든 투자에 리스크는 존재합니다. 

 

신라젠 역시 예외는 아니죠. 

우선, 임상시험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는 상업화 승인 전 단계입니다. 

 

중간 데이터가 긍정적일 수는 있지만, 최종 결과가 다르게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과거 상장폐지 위기와 경영진 교체 이력 때문에, 시장 내 신뢰 회복이 아직 완전히 이뤄지지는 않았습니다. 

 

여기에 더해, 글로벌 경쟁 바이오 기업 대비 아직 매출 실적이 미미하다는 점도 투자 판단 시 유의해야 할 요소입니다.

 ‘기대감’만으로 급등한 주가는 반등만큼이나 빠르게 하락할 수 있다는 점, 반드시 고려하세요.


 

지금까지 최근 신라젠의 계속적인 상한가의 원인과 향후 전망, 투자자의 입장에서의 매력과 리스크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바이오 기업의 특성상 임상 결과, 규제 승인, 시장 반응 등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가 있어요.

 

특히, 신라젠은 과거 상장폐지 위기와 거래정지 등의 이슈를 겪은 바 있어,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전략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신라젠은 최근의 긍정적인 임상 결과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투자 결정 시에는 관련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유념해 주세요.

 

 

HAVE A GOOD DAY!

 

 

🔻 관련 포스팅 구경 가기

 

아이티아이즈(372800) 4월 21일 상한가! 원인과 향후 전망 정리

2025. 04. 21. 월요일 주식하시는 분이라면 오늘 눈에 띄는 종목 하나, 다들 보셨을 거예요. 바로 아이티아이즈(372800). 장 초반부터 급등, 결국 상한가 마감.이 회사 뭐 했길래 갑자기? 요즘 같은 시

edurein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