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트로닉스, 센서 기술 수혜로 급등! 주가 배경과 투자 포인트 분석
2025년 5월 15일, 시지트로닉스 상한가
국산 실리콘 APD 칩 양산 성공 소식에 기대감 ‘쑥’
오늘 주식시장에서 시지트로닉스가 가격제한폭까지 급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오전부터 29.99% 급등하여 6,480원으로 상한가를 찍었어요.
반도체 기술력에 대한 주목과 함께, 국내 양산화에 성공한 센서 관련 기술이 시장의 기대감을 자극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지트로닉스 주가 급등의 배경과 회사의 핵심 기술, 그리고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과 투자 시 주의사항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할게요~
1. 상한가 배경 : 실리콘 APD 센서 양산화 성공
시지트로닉스는 국내에서 고성능 실리콘 애벌런치 포토다이오드(APD) 센서를 자체 기술로 양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기술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이전받은 기술을 기반으로 했으며, 시지트로닉스가 보유한 반도체 생산시설(M-FAB)을 통해 본격적인 양산 체제로 돌입한 것이 특징이에요.
이 센서는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교통 모니터링, 야간 투시기, 국방 감시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산업에 활용 가능한 핵심 광센서입니다.
⭐왜 주목받는 기술일까요?
APD 센서는 기존의 일반 포토다이오드보다 감도와 속도가 매우 뛰어납니다.
미국, 일본, 독일의 일부 기업만 생산 가능했던 고난도 기술이었지만 이번에 시지트로닉스가 국산화와 양산을 동시에 성공한 점이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은 이유입니다.
특히 APD 센서의 동작 전압은 100에서 150V, 이득은 100 이상이며, 전류 누설이 거의 없어 고속 응답이 필요한 라이다 시스템에도 적합한 성능을 보이고 있어요.
그동안 고가의 수입 제품에 의존해야 했던 국내외 업체들에게 더 낮은 가격과 빠른 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을 동시에 잡은 셈입니다.
⭐ 주요 활용처와 시장 확대 전망
현재 이 제품은 로봇 자율이동용 라이다 센서로 상용화되었으며 30곳 이상의 기업들과 협력해 시장 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방위 산업과 로봇 산업 등 K-방산 분야에서도 핵심 센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요.
앞으로는 내압 범위를 60에서 250V로 넓히고 파장 대역도 녹색부터 적외선까지 다양하게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이와 더불어 심박 측정기, 혈중 산소 포화도 센서, 당뇨 진단 센서 등 의료 분야까지 확장을 노리고 있어 연간 수천억 원대의 신규 시장 진출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2. 시지트로닉스 기업 정보
구분 | 내용 |
상장시장 | 코스닥 (2023년 기술성장기업 상장) |
주요사업 | 실리콘 광·개별소자, 전력반도체, RF소자, Sensor, GaN Power 소자 등 |
특징 | 자체 파운드리(FAB) 보유, 국방·헬스케어 납품, 기술 고도화 지속 중 |
시지트로닉스는 실리콘 기반 전력반도체, 센서, RF 소자 등을 개발·생산하는 종합 반도체 기업입니다.
자체 FAB 설비를 바탕으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GaN Power 및 Sensor 소자 사업을 강화하고 있고 2024년 실적은 부진했지만, 신속한 개발·생산 체계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추진 중입니다.
3. 성장 가능성 3가지
- 국산 실리콘 APD 센서 양산 성공
미국·일본 중심의 독점 시장에서 국산화에 성공하며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 확보 - 자율주행·로봇·방산용 센서 수요 확대
라이다, 적외선 탐지 등 첨단 산업에 필수 부품으로 시장 확대 기대 - 자체 FAB 기반 빠른 개발과 양산 체계
기술 독립성과 생산 효율성을 갖춘 구조로 고부가가치 제품군 확장 가능
시지트로닉스는 국산 실리콘 APD 센서 양산에 성공해 기술 자립을 이뤘습니다.
자율주행, 로봇, 방산 등 첨단 산업에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고부가가치 시장에 진입했고, 자체 보유한 FAB 시설을 기반으로 빠른 개발과 안정적인 양산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4. 투자 시 주의사항 3가지
- 실적 개선 지연
최근 실적 부진으로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확대된 상황 - 기술 집약 산업 특성상 연구개발 부담
지속적인 투자 없이는 경쟁사 대비 기술 격차 벌어질 가능성 존재 - 고객 다변화 부족
주요 매출처 편중 시 외부 변수에 민감할 수 있는 구조
최근 실적에서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늘어나 수익성 개선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기술 중심 산업 특성상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부담이 크며, 고객 다변화가 부족해 특정 산업 또는 수요처 변화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시지트로닉스는 국산 실리콘 APD 센서 양산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과 방산, 로봇 등 성장성이 높은 분야에 핵심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데요.
물론 아직은 실적 면에서 아쉬움이 남고, 기술 개발 투자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독자적인 생산 시설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간다면 중장기적인 성장이 가능해 보입니다.
앞으로도 시지트로닉스의 기술 진화와 수출 확대 여부를 꾸준히 지켜보실 필요가 있겠죠!
HAVE A GOOD DAY!
🔻 관련 포스팅 구경 가기
대성파인텍, 왜 올랐나? 태양광 테마와 미국 정책 수혜 기대감에 주가 급등
2025년 5월 14일, 대성파인텍 상한가태양광 테마와 미국 정책 수혜 기대감 태양광 관련 종목들이 시장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대성파인텍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하며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
edureina.com
로보티즈 주가 급등 이유는? 중국·LG전자 수혜 기대감과 향후 투자 포인트
2025년 5월 14일 로보티즈 주가 급등중국 유니트리 공급 본격화와 LG전자 수혜 기대 로보티즈 주가가 29.97% 급등하면서 49,000원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최근 상승세를 타다가 14일 상한가를 찍었는
edureina.com
파루, AI 태양광 기술 공개에 급등! 주가 상승 배경과 향후 투자 포인트
2025년 5월 13일, 파루 상한가AI 기반 영농형 태양광 기술 기대감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파루의 주가가 급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농업과 태양광을 결합한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edureina.com
'정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토젠, 최대 실적에 시장 기대감까지! 급등 배경과 향후 전망 분석 (0) | 2025.05.16 |
---|---|
세아메카닉스, 왜 급등했나? LG에너지솔루션 북미 공급 기대감 반영! 투자 전망 정리 (1) | 2025.05.15 |
대성파인텍, 왜 올랐나? 태양광 테마와 미국 정책 수혜 기대감에 주가 급등 (1) | 2025.05.14 |
로보티즈 주가 급등 이유는? 중국·LG전자 수혜 기대감과 향후 투자 포인트 (1) | 2025.05.14 |
파루, AI 태양광 기술 공개에 급등! 주가 상승 배경과 향후 투자 포인트 (2) | 2025.05.13 |
댓글